본문 바로가기
전기전자

전기기사 공식정리1

by 458 2020. 9. 1.
반응형

 

1. %임피던스(%Z)
3상

%Z = IZ/E * 100 = ZP/10V^2 (쉽게 외우는 방법: 시(10) 발(V) 2(이새X) Z(조) P(팰까))

%X = XP/10V^2

%R = RP/10V^2

(위에서의 V는 모두 선간전압 Vl임)

 

단상

%Z = IZ/E*100 = IZ/10E = ZP/10E^2

 

2. 단락전류

 Is - E/Z = 100*In/%Z ( Z = E*%Z/I*100)

(Is는 단락전류, In은 정격전류)

 

3. 단락용량, 차단기 용량

Ps = √3*V*Is (여기서 Ps는 단락용량, V는 공칭전압, Is는 단락전류)

P = √3*V*Is(여기서 P는 차단기 용량, V는 정격전압, Is는 단락전류)

차단기 용량은 단락용량보다 커야한다.

 

4. 정전유도장해 없애는 방법

- Ca = Cb = Cc(선로정수 평형)

- 통신선과 전력선 사이의 간격을 넓혀 유도장해를 줄인다.

 

5. 1선 지락사고 시

전압: 비접지> 소호리액터 > 직접접지

전류: 직접접지>      >소호리액터

유도장해: 직접접지>      >소호리액터

절연: 비접지>     >직접접지

과도안정도: 소호리액터>     >직접접지

(과도안정도가 좋다는 것은 고장 시에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소호리액터는 지락전류가 적기 때문에 과도안정도가 좋다.)

 

6. 유도장해는

정전유도와 전자유도, 고주파 유도가 있지만, 고주파 유도는 미비하다.

 

7. 소호리액터

소호리액터는 1선 지락사고시에 대지로 흐른 전류가 중성점으로 오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된 것

직렬공진은 Z(임피던스)가 최소가 되어 I가 최대가 된다. 하지만 병렬공진은 Z가 최대가 되고 I가 최소가 된다. 따라서 지락전류(Ig)가 최소가 된다. 소호리액터는 중성점 접지에 연결되어 있어 작용정전용량과 병렬이다. 

 

8. 대지전압

 대지전압은 선간전압/√3이다.

 

9. 충전전류

 Ic = E/Xc = wCEL = 2πfCLV/√3

여기서 V는 선간전압이다.

 

10. 조상설비

- 전력용콘덴서

 P = V^2/R = V^2/Xc = wCV^2 = 3wCV^2(3상 델타결선 시)

 3상 Y결선 시: 3wCE^2 = WCV^2(V는 선간전압)

 

- 동기조상기

 계자전류가 커지면 과여자, 작아지면 부족여자. 연속적이며, 진상, 지상 둘 다 가능하다.

 

11. 전압강하

 e = I(Rcos + Xsin) = P(R+Xtan)/V

 

12. 전압강하율

전압강하율 = Vs-Vr/Vr(Vs는 송전, Vr은 수전) = P(R+Xtan)/V^2

전압강하율은 V^2에 반비례한다.

 

13. 전압변동율

전압변동율 = Vr0 - Vrn/Vrn 

여기서 Vr0는 수전단 무부하, Vrn은 수전단 정격

 

14. 선로손실 

Pl(단상) = I^2*R

3상의 선로손실은 3I^2R

반응형

댓글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