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10 2021 하반기 코레일 차량전기 NCS후기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일단 전공은 평이하거나 쉬운 수준이었고 NCS는 (개)어려웠습니다. 복기가 늦었지만 먼저 생각나는 문제들만 복기해보겠습니다. 1. ㄱ,ㄴ,ㄷ,ㄹ 중에서 맞는 것을 모두 고르는 문제 - 쉬운 편이었는데 틀린 것 같네여. ㄴ인가 ㄷ중에 유전율의 단위는 F/m 라고 봐서 맞다고 했는데 다른분들 이야기 들어보니 비유전율이었다고.. 비유전율이었으면 단위가 없는 걸로 아는데, 아무튼 틀린 것 같습니다. 저는 유전율로 봐서 다 맞다고 했네요. 2. 접지 구도체 영상전하 전하량 구하는 문제 - -a/d*Q 하면 바로 나왔던 것 같습니다. 1번에 -2*10^-4승인가 암튼 이거 3. 유한직선도체에서 r만큼 떨어진 자계의 세기? - 이것도 i/(4파이*r)*(sin세타1 + sin세타2) 공식으로 풀.. 2021. 10. 2. 정전계 쿨롱의 힘, 전계의 세기, 전위 쉽게 설명 1. 정전계 정전계는 전하가 정지하고 있을 때의 전계를 말한다. 이와 같은 말로는 전계에너지가 최소로 되는 전하분포이다. 전하가 정지하고 있으니 에너지가 최소가 된다는 말이다. 2. 쿨롱의 법칙 정전계에서 쿨롱의 법칙은 '정지된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의미한다. 여기서 알아두어야 할 쿨롱의 힘 공식은 F=k*Q1Q2/r^2이다. k는 쿨롱 상수를 의미한다. 이 k의 값은 Q1과 Q2의 2개의 전하가 놓여있는 매질(공기, 물, 기름 등)에 의해 결정되는 상수이다. k=1/4*파이*입실론 k에서 등장하는 입실론은 유전율을 의미한다. 여기서 유전율이란 전기를 유도하는 능력, 즉 전하를 유도하는 능력을 뜻한다. 입실론의 공식은 입실론 = 입실론0 * 입실론s(비유전율)이다. 입실론0은 진공 또는 공기의.. 2021. 7. 10. 전기기기 전기자 반작용과 감자기자력, 교차기자력 전기기사 필기 공부할 때 감자기자력과 교차기자력이 나오면 그냥 공식을 외우곤 했다. 하지만 정확히 한번 이해하고 정리하려고 한다. 1. 전기자 반작용 전기자 반작용은 간단히 말해 전기자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주자속인 계자자속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조금 더 그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직류발전기에서 계자 자속이 주어지고 원동기에 의해 전기자가 회전한다면 전기자 권선에는 기전력이 발생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는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을 생각해보면 당연한 결과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렇게 생긴 전기자 권선의 전류가 또 다른 자속을 만든다. 이 자속은 계자 자속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는 좋지 않은 현상이다. 우리가 발전기를 통해 만들고자 하는 기전력 E가 있는데 기전력은 자속에 비례하기 때문에 자속이.. 2021. 5. 12. 직류발전기 전기자, 정류자 헷갈리는 부분 정리 전기기기 첫 단원 직류발전기 단원을 풀다보면 헷갈리는 부분이 많다. 전기기사 필기 공부할 때는 그냥 대충 넘어갔지만, 다시 공부하는 차원에서 정확하게 정리하고 넘어가고자 한다. 1. 전기자 전기자는 철심과 권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통 원통 모양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원통이 돌아가면서 계자 자속을 끊고 기전력을 만드는 것이다. 철심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철심은 철에 규소가 함유되어 있다. 약 1~1.5%이며 이는 히스테리시스손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철심은 성층으로 되어 있다. 이 말은 얇은 철판이 겹겹이 있다고 생각하며 된다. 각각의 두께는 0.35mm~0.5mm정도이다. 처음에는 이말이 잘 와닿지 않았다. 그림으로 그려보면 아래와 같다. 그리고 성층철심은 와류손을 감소시키기 위함.. 2021. 5. 12. 이전 1 2 3 다음